어린이집 사고 유형과 예방법
1) 4~6세 유아기
1) 1세미만 영아기

가) 장소별 현황
ㅇ 4세 ~ 6세 유아기 아이들 역시 가정에서 가장 많이 다치는 것으로 분석됨.

  • 가정에서 8,403건의 위해가 발생하였는데, 이는 전체 위해의 57.6%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, 여가 및 문화놀이시설이 1,743건(11.9%)으로 그 뒤를 이었음.
    이는 1세 미만(33건, 0.6%), 1세 ~ 3세(1,450건, 4.3%)와 비교할 때 여가 및 문화놀이시설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징을 보임.
<표-12> 4세~6세 유아기의 장소별 위해발생 현황
발생장소 건수 비율
가정
8,403
57.6%
여가 및 문화놀이시설
1,743
11.9%
교육시설
1,375
9.4%
상업시설
862
5.9%
교육시설
30
0.6%
교통시설
449
3.1%
스포츠/레져시설
310
2.1%
의료서비스시설
99
0.7%
기타
1,345
9.2%
총합계
14,586
100%

나) 위해내용별 품목 현황

ㅇ 4세 ~ 6세 유아기 아이들은 침대·소파·의자 등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2,893건(19.8%)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.

ㅇ 그 다음으로 방·거실 등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가 1,849건(12.7%), 놀이기구 등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1,287건(8.8%), 자전거 등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869건(5.6%) 등으로 나타남.

ㅇ 또한 어린이집·유치원 등 보육시설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가 393건으로 전체의 2.7%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.

<표-13> 4세~6세 유아기의 주요 사고유형
순위 사고유형 합계 비율
1
침대, 소파, 의자 등에서 추락
2,893
19.8%
2
방, 거실 등에서 넘어짐/미끄러짐
1,849
12.7%
3
놀이터 기구 등에서 추락/넘어짐
1,287
8.8%
4
자전거 등에서 추락/넘어짐
869
5.9%
5
창문, 방문 등에서 눌림/끼임
753
5.2%
6
구슬, 장난감 등 완구 삼킴
496
3.4%
7
어린이집, 유치원 등 보육시설에서 넘어짐/미끄러짐
393
2.7%
8
생선 가시가 목에 걸림
375
2.6%
9
가정용 주방제품에 베임/찔림
175
1.2%
10
애완견 등 애완동식물 등에 물림/쏘임
169
1.2%
11
기타
5,327
36.5%
총 합계
14,586
100%

다) 치료기간별 현황
ㅇ 4세 ~ 6세 유아기 아이들 역시 1주 ~ 2주 미만의 치료를 받는 사례가 3,798건으로 가장 많았음.

  • 특히, 1개월 이상의 치료기간을 요하는 중상 이상의 상해가 151건으로 전체의 1.0%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됨.
 
<표-14> 4세~6세 유아기의 치료기간별 현황
치료기간 건수 비율
당일
2,319
15.9%
1주 미만
573
3.9%
1주 ~ 2주 미만
3,798
26.0%
2주 ~ 4주(1개월)미만
1,420
9.7%
1개월 ~ 3개월 미만
104
0.7%
3개월 이상
43
0.3%
사망*
4
0.0%
미상
6,325
43.3%
총합계
5,711
100%

라) 시사점

  • 4세 ~ 6세 유아기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시기로 이러한 시설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.
  • 또한, 아이들의 활동 영역이 가정 밖으로 확대되어 여가 및 문화놀이시설에서 발생한 위해사례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특징을 보임.
  • 작은 부품이 있는 완구나 물건 등을 삼키지 않도록 주의하고, 사용연령에 맞는 장난감을 구매하여 사용하도록 할 필요.
  • 자전거 등 이용 시 안전모와 무릎보호대, 팔꿈치 보호대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지도할 필요.

마) 주요사례

▣ 유아기 안전사고 사례 ▣
【사례1】 2012년 05월 이○○(남, 4세)는 골목에서 놀다가 정차되어 있는 차의 백미러에 부딪혀 귀의 열상을 입고 병원 치료를 받음.
【사례2】 2013년 06월 백○○(남, 만 6세)는 얼룩 제거제를 마셔 세재의 중독 작용을 일으켜 병원 치료를 받음.
【사례3】 2013년 10월 박○○(남, 5세)는 워터파크 슬라이드에서 넘어져 아래턱에 열상을 입음.